본문 바로가기

경매용어/가

공탁

공탁



변제자가 변제의 목적물을 채권자를 위하여 공탁소에 임치하여 채권자의 협력이 없는 경우에도 채무를

 

면하는 제도이다.

 

 

변제자, 즉 채무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, 그 성질을 제3자를 위한 임치계약으로 봄이 일반적이나,

 

판례는 공법관계(행정처분)로 본다. 공탁의 성립요건으로는, 채권자가 변제를 받지 않거나 받을 수 없어

 

야 하는바, 변제자의 과실 없이 채권자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. 공탁의 목적물은 채무의 내용

 

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고 일부공탁은 원칙적으로 무효이다.

 

대체로 ① 채권소멸을 위한 공탁, 즉 채무자가 채권자의 협력없이 채무를 면하는 수단으로 하는 변제공탁,

 

② 채권담보를 위한 공탁, 즉 상대방에 생길 손해의 배상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는 담보공탁, ③ 단

 

순히 보관하는 의미로 하는 보관공탁과 기타 특수한 목적으로 하는 특수공탁 등이 있다.

'경매용어 >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경매신청취하  (0) 2013.10.14
공과주관 공무소에 대한 최고  (0) 2013.10.14
과잉매각  (0) 2013.10.14
교부청구  (0) 2013.10.14
권리관계  (0) 2013.10.14